ETF정리/국내

[ETF정리] KIWOOM 국고채30년액티브

아부남 2025. 1. 28. 16:44
300x250
반응형
SMALL

현재 ISA계좌에 담아둔 포트폴리오는 월배당 종목으로만 구성해서 나름대로 자산분배를 해놓은 상태이다.

2024.10.30 - [국내 투자/투자기록] - [ETF투자] 현재 투자 기록(24.10.30)

 

[ETF투자] 현재 투자 기록(24.10.30)

※해당 글에 언급되는 종목은 매매 추천을 하는 것이 아니며, 개인적인 기록을 남기는 것임을 알립니다. 현재 운용 중인 계좌는 총 4가지이다.연금저축, IRP, ISA, 해외직투.크게 나누면 국내와 해

abunamja.tistory.com

원자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아쉽긴 하지만, 월배당을 목표로 삼았기에 과감히(?) 제외했다.

그리고 포트폴리오를 구상할 때, 국내 국고채 ETF 중 월배당을 주는 상품이 없어서 아쉬운대로 주식과 채권이 혼합되어 있는 상품을 담았다.

2024.11.11 - [ETF정리/국내] - [ETF정리] PLUS고배당주채권혼합

 

[ETF정리] PLUS고배당주채권혼합

첫 ISA계좌의 만기가 끝나서 해지한 이후 재가입을 했을 때, 처음에는 채권을 위주로 담았다.장외채권을 시작으로 장내채권도 매수를 했다.일단 금리인하가 가시권이었고, ISA에서도 장내채권을

abunamja.tistory.com

이 포트폴리오를 작년 9~10월에 설정했으니 이제 3~4개월정도 지난 상태이다.

그 때는 국내 채권 ETF에 상태할 것이 마땅치 않아서 채권혼합을 담은 것인데, 이번에 ETF를 좀 살펴보다가 우리나라 국고채 ETF인데 월배당을 주는 상품을 알게되었다.

또 이렇게 알게되니 마음이 흔들리는데... 그렇기에 괜찮은 것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728x90

1. 개요

상품명 : KIWOOM 국고채30년액티브

운용사 : 키움자산운용

상장일 : 2023년 11월 7일

비교지수 : KIS-키움 국고채 30년 지수(TR)

시가총액 : 308억원

총 보수 : 0.035%

실부담비율 : 0.0641%(24.12.31 기준)

60일 평균 거래량 : 약 1.2만주

60일 평균 거래대금 : 8억원

60일 평균  괴리율 : 0.01%

60일 평균 추적오차율 : 0.48%

(자료 출처 : KIWOOM ETF 홈페이지, ETF CHECK)

 

2. ETF의 비교 지수

지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키움'이 들어가있는걸 보면 이 ETF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우선 지수에 대한 간단한 내용이 홈페이지의 상품 소개 페이지에 바로 적혀있다.

출처: KIWOOM ETF 홈페이지

근데 사실 내용은 별거 없다.

이건 지수에 대한 특징이 아니라 그냥 장기채에 대한 내용인데?

편하게 그냥 복붙하려고 했더니 역시 안된다.

지수에 대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려고 투자설명서를 열어봤다.

출처: ETF 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에도 지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았다.

국고채 30년물 중 최근 발행물 3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비중을 보여주는 정도이다.

가장 최근에 발행된 종목이 50%, 그 직전 채권이 40%, 그보다 앞선 채권이 10%가 담긴 지수와 비교해서 초과 성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한다.

생각보다 지수는 특별한 게 없다.

그냥 만기가 긴 채권 3개만 갖고 있는 것이다.

정기변경일(리밸런싱)도 국고채 30년물이 변경될 때 진행된다고 한다.

날로 먹는 지수로구만.(?)

 

3. 구성종목

지수의 내용이 심플하니 구성하고 있는 종목도 간단할 것 같다.

출처: KIWOOM ETF 홈페이지

역시 종목이 많지 않다.

일단 현금을 제외하고 상위 2 종목은 2054년에 만기되는 국고채이다.

이자율이 생각보다 상당히 좋다.

54년 3월 만기 채권은 3.25%나 된다.

괜찮은걸?(출처: 뽐뿌)

3번째 종목은 국채선물인데, 10년물로 구성되어 있는 것 같다.

저건 ETF는 아닌것 같고... 그냥 채권과 관련된 파생상품같은데 전문가가 아닌 우리가 굳이 알 필요는 없어 보인다.

마지막에 국고채원금은 조금 찾아보니 원금이자분리국고채에 해당하는 것 같다.

원금과 이자에 대한 채권을 따로 만들어서 시장에 유통하는 것이 원금이자분리국고채라고 하는데, 이 중 원금에 해당하는 채권이 이것 같다.

그리고 그 위에 보이는 것이 KOSEF 국고채10년레버리지인데, KOSEF는 KIWOOM으로 바뀌기 전 브랜드명이니 해당 종목은 국고채10년레버리지 ETF임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액티브 ETF라서 초과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넣은 것 같다.

출처: KIWOOM ETF 홈페이지

현재 듀레이션은 19.577년, YTM은 2.728%이다.

생각보다 YTM이 조금 낮아서 아쉽다.

 

4. 수익률 및 배당 추이

상장된 시기가 23년이면 한창 금리가 고점일 때였으니 지금은 그래도 수익이 나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2년도 안 된 ETF라서 큰 의미를 갖고 보기는 힘들지만, 그래도 그 와중에 손실이 났던 ETF도 있을테니 운용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보면 될 듯 싶다.

출처: KIWOOM ETF 홈페이지

일단 상장이후 현재까지 수익률은 30%이다.

금리 인하기를 감안해도 나쁘지 않은 수익률이다.

 

게다가 최근 1년 수익률이 13%정도인데, S&P500의 최근 10년 연평균 수익률과 비슷하다.

물론 작년에는 엄청난 상승이었으니 비교 불가지만...

어쨌든 시기를 잘 만난 덕분에(?) 좋은 수익률을 보여줬다.

출처: KIWOOM ETF 홈페이지

그래프로 보더라도 아직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작년 말 상당히 올랐다가 좀 빠지긴 했는데, 그래도 처음 상장 때 투자를 했다면 30%정도는 벌었다는 이야기니 괜찮아 보인다.

그러나 그 수익이 내 것은 아니지(출처: X)

그런데 앞으로도 이정도로 좋은 수익을 낼 수 있을까?

금리가 떨어지긴 할테지만 한계가 있을텐데...

그래도 분배금을 잘 주면 그걸로 버틸만할 듯 싶다.

분배금 내역(출처: ETF CHECK)

상장된 이후 약 9개월정도 분배금이 없었는데 작년 8월부터 분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그 때면 내가 한창 찾아볼 때였는데 왜 몰랐지?

어쨌거나 분배금은 매월 잘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 분배금만 조금 높게 책정되고 그 이후에는 일정하게 지급되고 있다.

올해 분배금이 오르지 않은 것은 조금 아쉽지만, 앞으로의 추세가 더 중요하니 지켜보면 될 듯 싶다.

SMALL

5. 총평

국고채 ETF 중 월배당 상품이 없는 줄 알았는데, 우연히 알게되어 살펴보게 됐다.

물론 진정한 채권 ETF(?)라고 보기엔 30년물은 너무 기간이 길어서 변동성이 크지만, 그래도 주식과 약간 다르게 흐르는 모습을 기대할 수 있다.

KODEX200과의 비교(출처: ETF CHECK)

실제로 위의 차트처럼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KODEX 200과 비교해보면 움직임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이정도의 움직임이라면 주식 채권의 자산분배로 사용해도 괜찮아 보인다.

그 와중에 흘러내리는 코스피...

게다가 배당도 매월 주고 있으니 배당 포트폴리오로 넣어도 좋아 보인다.

미국 30년 국채와의 조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와의 비교(출처: ETF CHECK)

이렇게 비교해보니 움직임이 비슷하긴 하다.

그런데 미국30년국채는 너무 많이 흘러내렸다.

지금 투자하고 있는 상품인데...

수수료도 높지 않은 편이라 좋은데, 시가총액이 약간 아쉽다.

시총이 300억은 넘으니 정말 투자하면 안되는 수준은 아닌데, 그래도 조금 아쉬운 느낌이 들긴 한다.

하긴, 100억도 안되는 ETF도 많은데 300억대면 나름 선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ETF를 알게되니 또 ISA 계좌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생각이 흔들린다.

지금 투자하고 있는 상품 중 PLUS 고배당주채권혼합을 나눠서 투자해볼까 싶다.

거기다 포트폴리오를 예전에 했던 것처럼 금과 단기채 등 더 세부적으로 나누면서 일부 월배당을 넣어볼까 생각하고 있는데 말이다.

역시 투자를 하면서 가장 힘든 점은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이어가야한다는 점이다.

일단 어떻게 할지는 고민을 해봐야겠지만, 그래도 국고채 ETF 중 월배당이 있다는 점에서 투자를 고려해도 괜찮아 보인다.

300x25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