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정리/해외

[ETF정리] FlexShares High Yield Value-Scored Bond Index Fund(HYGV) - 작성 중

아부남 2025. 2. 3. 23:47
300x250
반응형
SMALL

지난 번에 ACE 글로벌인컴TOP10Solactive를 살펴본 이후 좀 많이 꽂혀있다.

2025.01.31 - [ETF정리/국내] - [ETF정리]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ETF정리]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설 연휴도 거의 끝나간다.부모님 집에 내려가서 빈둥거리다 날씨도 안 좋아진다고 하고 차도 많이 막힐 것 같아서 조금 일찍 돌아왔다.어차피 돌아와서도 빈둥거리는건 마찬가지지만 말이다.어

abunamja.tistory.com

ISA계좌 포트폴리오를 구상할 때 어렵게(?) ETF를 골라서 투자했건만, 이렇게 간단한 ETF가 있는 줄 몰랐다.

물론 ETF를 구성하는 종목이 대부분 미국에 투자하는 ETF긴 하지만, 실제로 ISA계좌에서도 전부 미국에만 투자하는 ETF를 담을까 고민했기에 이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주식과 채권에 나눠서 투자하고 월배당이라니, 내가 정말 찾고 있던 ETF이다.

2025.02.02 - [국내 투자/기타] - ACE 글로벌인컴TOP10에 대해 조금 더 찾아봤다

 

ACE 글로벌인컴TOP10에 대해 조금 더 찾아봤다

지난 ETF 정리글에서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에 대해서 적은 적이 있다.2025.01.31 - [ETF정리/국내] - [ETF정리]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 [ETF정리] ACE 글로벌인컴TOP10 SOLACTIVE설 연휴도 거의 끝나간

abunamja.tistory.com

생각보다 높은 수수료가 조금 마음에 걸리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마음에 든다.

안그래도 요즘 트럼프가 당선된 이후 관세 폭탄이 터지고 있어서 금이 엄청 오르고 있던데, 그 덕에 금 ETF를 포트폴리오로 담을까 고민하고 있다.

배당금만으로 버티려고 했는데 주가가 계속 바닥치는 것을 보니 그래도 헷지가 약간이라도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긴 한다.

트럼프는 참 대단하다(출처: 구글 뉴스)

어쨌건 마음에 드는 ETF라서 구성종목에 담고 있는게 뭔지 한 번 살펴보려고 한다.

일단 QYLD는 워낙 유명하고 자료도 많아서 넘어가려고 한다.

커버드콜을 별로 좋아하지 않기도 하고...

그래서 그 다음 비중이 많지만 국내 자료가 거의 없는 상품 위주로 살펴보려고 한다.

전문가가 아니니 그냥 가볍게 보기를 바란다.

728x90

1. 개요

출처: FlexShares 홈페이지

상품명 : FlexShares High Yield Value-Scored Bond Index Fund

티커 : HYGV

운용사 : Nothern Trust

상장일 : 2018년 07월 17일

벤치마크 : Northern Trust High Yield Value-Scored US Corporate Bond Index

시가총액 : 약 14.6억 달러

총 보수 : 0.37%

구성종목 수: 1080

(자료 출처 : FlexShares 홈페이지, ETF CHECK, ETF.com)

 

2. ETF의 기초 지수

일단 운용사부터 굉장히 낯설다.

처음 들어보는 곳인데, 찾아보니 세계 3대 신탁이라고 한다.

뭐지? 역시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는 곳인건가??

내가 모르는 것이었군...(출처: 네이버블로그)

그런데 국내에 잘 알려진 ETF는 없는 것인지 국내 자료는 구글에 나오지 않는다.

FlexShares는 ETF의 브랜드명 같은데, ETF.com 사이트에서 찾아보니 총 29개의 ETF가 나온다.

최대 51.8억달러의 규모가 있는 ETF도 있는걸 보면 그래도 나름 큰 규모인데, 살펴보니 티커가 아주 낯설다.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듯 싶다.

이러니 알기가 어렵지.

어쨌거나 지수 관련한 자료를 좀 찾아봤다.

우선 홈페이지를 보니 인덱스에 대한 내용이 짧게 나와있다.

출처: FlexShares 홈페이지

뤼튼한테 해당 내용의 번역을 부탁했다.

Northern Trust 고수익 가치 점수화 미국 기업 채권 지수는 Northern Trust Investments, Inc.("NTI")의 점수 모델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긍정적인 기본적 특성, 시장 평가 및 유동성을 보이는 기업의 고수익 미국 달러 표시 채권의 다양화된 우주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음... 일단 회사채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데... 특별한 내용은 아니다.

홈페이지에서 FactSheet에 지수 관련 내용이 짧게 있는 것 같아서 해석을 해봤다.

출처: 뤼튼

일단 고수익 채권, 즉 하이일드로 이뤄져있음을 알 수 있다.

모델링은 투자사 자체적으로 뭔가 있는 듯 싶다.

자세한 건 더 찾아봐야겠지만, 너무 내용이 복잡해질테니 추후에 하는걸로...

어쨌거나 신용등급 BBB 이하의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에 투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구성종목

1080개나 되는 종목이 있어서 의미가 있으려나 싶지만, 그래도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상위 10종목을 보자.

출처: FlexShares 홈페이지

일단 Coupon이라고 해서 채권 금리가 눈에 들어온다.

하이일드 채권이라 그런지 이자율이 엄청나다.

무려 10%짜리도 있다니... 이건 무슨 회사인건지??

스테이플스... 스테이플러 만드는 그 회사인가?

하이일드 채권을 발행하는 회사들이라 그런지 우리에겐 낯설게 다가온다.

출처: FlexShares 홈페이지

특이하게 채권형임에도 섹터를 분류해서 알려주고 있다.

이렇게 보니 산업, 필수재, 에너지 부분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역시 섹터를 보니 해외보다 내수 산업에 치중된 분야라서 우리에게 낯선 것 같다.

그래도 해당 섹터는 고배당주로 유명한(?) 섹터이니 채권의 이자가 높아도 부도날 확률은 그래도 낮다고 생각한다.

 

4. 수익률 및 배당 추이

하이일드 채권이라 수익이 얼마나 잘 났을지 모르겠다.

출처: FlexShares 홈페이지

2018년에 출시되어 이제 7년이 되어간다.

그래서 시장 가격에 대한 수익률은 5년치까지 있다.

1년 이하의 수익률은 누적 수익률이고, 그 이상은 연 평균 수익률이라고 한다.

즉, 상장 이후 현재까지 연평균 수익률은 4.7%정도 되는 것이다.

역시 채권이라 그런지 수익률은 크지 않다.

그럼 배당은 어땠는지 보자.

 

SMALL

5. 총평

국내 자료가 없는 것을 

300x25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