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투자/투자연구

[투자연구#8]HAA 전략 응용해보기

300x250
반응형
SMALL

퇴사한 이후 이것저것 정신이 없어서 투자에 신경쓰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 상승장을 죄다 놓쳐버렸다.

또 거기다 코인도 몇 달 전부터 관심이 생겨 계좌까지 만들었지만 투자하지 않고 있었는데, 그새 어마어마하게 폭등해버렸다.

그러다 어제 코인을 샀더니 최고점을 찍고 떨어졌다.(...)

나는 투자하면 안되는 사람인건가...

나인건가요? (출처: 잡인덱스)

어차피 꾸준히 투자할거니 잠깐 떨어지는 것은 상관하지 않기로 하자.

 

어쨌든 아직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주식에 직접 투자는 계속해서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정적을 할지 동적을 할지 솔직히 계속 고민되긴 한다.

그래도 국내에서 투자하는 방법을 정적 자산으로 하기 있기 때문에, 미국 직접투자 부분은 동적으로 할까 싶다.

그래서 투자 전략을 어떤걸 해야할까 고민하고 있다.

기존의 방법이던 레버리지 추세비율+채권동적자산을 계속 할까도 생각해봤는데, 일단 직접 계산해야하는 것이 귀찮고(...)

백테스트도 제대로 된 것이 아니라서 좀 걱정이 많이 되는게 사실이다.

허접한 내가 프로그래밍도 아니고 이상한 데이터를 써서 엑셀로 백테스트 한 것이 제대로 맞지는 않을테니...

이런 이유로 전문가들이 만들어놓은 결과를 활용해서 백테스트를 하고 전략을 선택하고자 한다.

 

일단 전략은 최대한 쉬운 것으로 해보고 싶다.

예전에 투자했던 전략 중 하나인 GTAA-5 전략이 그 예인데, 5개의 자산을 선택하고 해당 자산에 각각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한다.

투자 자산 선택은 각 ETF의 10개월 이동평균을 보는 것이다.

백테스트 결과를 보면 다른 전략들에 비해 우수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전략 자체가 굉장히 간단해서 처음 시작할 때 따라하지 좋다고 본다.

그래서 해당 전략을 따라할까 생각해봤는데, 수익률이 아쉽다고 느껴졌다.

연환산 수익률이 5.1%라... (출처: 스노우볼72)

사람이 욕심을 부리면 안된다지만, 또 너무 낮은 수익률을 보면 투자자로서 욕심이 날 수 밖에 없다.(??)

어찌됐건 좀 더 나은 전략을 찾아봤는데, 그래도 좀 해볼만한건 역시 기존에 따라하던 전략 중 하나인 HAA 전략이었다.

수치적으로 더 좋은 전략이 사이트에 소개되어 있긴 한데, 따라하기엔 신경쓸 게 많아서 복잡하다.(DGA 전략이란 것이다.)

HAA 전략에 대한 설명 (출처: 스노우볼72)

그런데 이 전략도 귀찮은 것이 모멘텀 스코어를 직접 계산해야하는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이제는 스노우볼72 사이트에서 해당 전략에서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할지 알려주니 보고 따라하면 되지만, 만약 사이트가 폐쇄되거나 잘못 계산된다면 전략이 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간편한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이동평균선을 바탕으로 전략을 수정해서 투자해보면 어떨까한다.

그래서 스노우볼72 사이트에서 HAA 전략의 조건을 조금씩 바꿔가며 백테스트를 해봤다.

 

<응용1>

HAA의 전략에서 다른건 모두 동일하게 두고, 투자자산 선택을 모멘텀 스코어가 아닌 10개월 이동평균선으로 바꿨다.

(출처: 스노우볼72, 이하 동일)

 

<응용2>

응용1과 동일하지만, 방어자산을 현금으로만 바꿨다.

 

<응용3>

위험회피 옵션을 계산할 때, TIP의 10개월 이동평균선으로 바꿨다. 방어자산은 현금으로 한다.

 

<응용4>

응용3과 동일하지만, 위험회피 옵션을 삭제했다.

 

<응용5>

응용4에서 투자자산 선택 갯수를 4개에서 5개로 변경했다.

 

모두 보기 힘드니까 표로 정리해보자.

응용 버전 차이점 연환산 수익률 최대 낙폭 샤프 지수 연간 턴오버
0 기본 HAA 전략 12.3% -11.1% 1.34 564.9%
1 투자자산 선택시 10개월 이평선 11.3% -17.6% 1.23 583.2%
2 응용1+방어자산 현금 10.8% -15.4% 1.19 414.7%
3 위험회피 옵션 TIP 10개월 이평선 +
방어자산 현금
10.3% -15.1% 1.17 409.9%
4 응용3+위험회피 옵션 삭제 10.2% -18.2% 1.03 396.2%
5 응용4+투자자산 5개 9.3% -16.2% 1.03 315.1%

 

기본 전략을 제외하고 각 지표별로 성과가 좋은 것은 파란색, 성과가 나쁜 것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다.

이렇게 보니 음... 그냥 기본 전략이 제일 좋은데??

다만 몇 가지 전략은 기본 전략에 비해 연간 턴오버, 즉 거래 회전수가 적은 것이 보인다.

사실 번거로운 계산과 투자 횟수를 줄이기 위해 다른 방법으로 전략을 바꾸려는 것인데, 응용한 것들이 딱히 좋아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성과가 좋은 응용 전략은 거래횟수가 오히려 더 높아졌고...

그나마 중간정도 되는 전략이 2,3번 전략일 것 같다. (투자자산 10개월 이평선+방어자산 현금)

방어자산을 ETF 상품이 아닌 현금으로 바꾸니 회전율이 낮아진 것 같다.

그런데 다른 부분을 살펴봐도 그냥 기존 전략이 더 좋은 것 같다.

 

오늘의 결론은... 결국 뻘짓이 된 것 같다.

구관이 명관이라고, 역시 그냥 오리지널 버전이 제일 좋은 것일까?

모멘텀 스코어를 매번 계산하는 것도 귀찮은데... 그냥 사이트에 나와있는 내용을 매달 확인하고 바꿔야할까?

좀 더 간편하면서 수익률도 나쁘지 않은 전략이 있으면 좋겠다.

(있으면 진작 다 따라했겠지...)

300x250
반응형
LIST